Sign In

today:
313
yesterday:
778
Total:
1,370,337


좋은 글

Articles 109
2023.01.27 11:58:08 (*.182.188.125)
125

 

 

 
 
            서녘 하늘에 별이 돋는다. 마음이 잔잔해야 보이는 초저녁별, 실눈을 뜨고 별 속에 아는 얼굴이 있나 찾아본다.

지난겨울에는 눈이 자주 많이 내렸다. 눈이 내릴 때마다 우리나라 문화계의 큰 별들이 떨어졌다. 미당 선생이 떠나시고 얼마 후, 온종일 눈이 내리던 날 정채봉 선생이 눈 나라로 가셨다. 이어 운보 선생도 떠나셨다. 그 뒤로는 겨우내 하늘이 낮게 내려앉으면 또 누가 떠나실라 겁이 났다.

 이윽고 건너다본 커다란 눈, 그 웃음 뒤에 끝 모를 서러움이 배어나는 것 같아서 가슴이 서늘했다. 어찌 보면 늘 배고픈 아이 같고 또 달리는 지구에 내려온 어린 왕자 같던 사람.

 

선생의 글을 처음 대한 것은 현대문학지에 연재했던 《초승달과 밤》다. 성장소설이라 하고 성인동화라고도 한 글은 신선한 표현과 등장인물들의 착함에 다음 호가 기다려질 정도로 흡인력이 있었다. 그 후로는 선생의 작품집을 구하는 대로 읽으면서 감동적인 글 뒤에 감동적인 삶이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

나는 오늘 저녁을 농막에서 보내며 별들을 만나려고 한다. 선생께서는 별이 되셨는지도 모르니까. 왜냐하면 해질녘을 좋아하는 스님을 찾아갔다가 찬물이나 한 바가지 떠 마시라는 말씀에 찬물을 받쳐 든 바가지에 별 하나가 돋았더라나.

그래서 천천히 버들잎인 양 별을 불면서 물을 마셨다는 것이다. 별을 불면서 물을 마시는 사람이 세상에 또 있을까. 그 뒤로 간혹 마음이 허할 때면 가슴에 별 하나가 떠오른다는 것이다.

선생께서 민방위 야간 훈련을 나간 날, “불을 끄시오, 불을 끄시오.”외치고 다니다 보니 순식간에 하늘의 별들이 또록또록해졌다. 그때 “별님들도 불을 끄시오.”하고서 혼자 웃었다는 분, 하늘 마음이 아니고는 볼 수도 느낄 수도 없는 글을 읽으며 내가 선생을 두고 어린왕자를 생각하는 연유가 이런 데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짧은 만남이지만 글에서 만난 사람과 현실에서 만난 사람이 한결같은 느낌을 주어서 더 인상 깊었던 것 같다. 만남 뒤에는 행복했고 용기가 솟았으며 여운이 오래 갔다.

사람들이 자신의 뒷모습을 볼 수 없기에 신이 타인이라는 거울을 우리에게 주고 서로 비춰보며 좋게 살라 하신지도 모른다.

선생의 글 속에 자신을 두고 “비겁자, 나태한, 이중성, 가련한.”이라고 표현한 구절이 나온다. 이러한 쓰라린 어둔 밤을 거쳐 하늘 마음을 찾은 것은 아닐지. 누가 나에게 당신의 뒷모습은 어떠하냐고 묻는다면 가만히 고개를 숙일 것이다. 그러나 아름다운 뒷모습은 아름다운 앞모습이 만들어낸다는 것에 희망을 걸고 기죽지는 않을 것이다.

이쪽의 죽음 순간은 저쪽에 막 태어나는 순간이라고 한 선생은 하얀 세상에 다시 태어나 그토록 그리워한 엄마랑 함께 오늘 밤 내가 보는 별을 바라보고 계실지도 모를 일.

하늘 마음으로 동화를 쓰고 동화 속으로 사라져간 뒷모습의 향기에 젖어 캄캄한 세상을 향해 나도 “별님들도 불을 켜세요.” 하고 웃어본다.

starry_night2_Van Gogh.jpg

 

Notice 계절 변화 알리는 알람, '24절기'의 모든 것
정조앤
Jan 31, 2022 192
Notice 논어 - 공자의 가르침
LenaLee
Jan 29, 2022 710
Views 72
그대 뒷모습 - 반숙자
박진희
2023.01.27
Views 125
통곡의 철학 - 임헌영
박진희
2023.01.18
Views 81
Views 69
Views 45
업어준다는 것 - 박서영
LenaLee
2022.08.21
Views 212
Views 74
Views 34
Views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