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만에 부활한 이름, 나혜석/김윤덕

"미구(未久)에 남녀 전쟁이 날 것이야"라고 예언한 이는 나혜석(1896~ 1948)이다. 흔히 부잣집 딸로 태어나 신식 교육을 받았으나 불륜과 이혼으로 기구한 인생을 살았다는 그 '신여성'이다. 하지만 나혜석의 삶은 '비운의 여자'란 수식으로 무질러 폄훼할 대상이 아니다. 그는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였고, 독립 운동가였으며, 조선일보를 비롯한 유수 매체에 칼럼과 만평을 게재하며 이광수 등과 한 시대를 풍미한 지성이었다.

1918년 발표한 소설 '경희'는 한국 최초의 근대 여성 문학이다. '조선여성 첫 세계일주기'의 주인공도 나혜석이었다. 19276월 부산에서 출발해 19개월간 중국·러시아를 거쳐 유럽 각지와 미국을 돌면서 보고 느낀 여행기를 발표했다. 파리에선 "공기에 자유, 평등, 박애가 충만해 있다"고 썼고, 중국 하얼빈 여성들을 보면서는 "여름이면 다림질, 겨울이면 다듬이질로 일생을 허비하는 조선 여성이 불쌍하다"고 개탄했다.


나혜석은 위험한 여자였다. 칼자루를 쥔 남성 사회를 바꾸려면 칼날을 쥔 여성들이 상처를 두려워하지 않고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믿었다. 1934년 발표한 '이혼 고백장'이 대표적이다. 불륜이 사실무근임에도 남편 김우영에게 강제 이혼당한 과정을 낱낱이 밝혀 충격을 던졌다. 그러나 세상은 내밀한 가정사를 들춰낸 나혜석에게 돌을 던졌다. 그래도 굽히지 않았다. "조선 남성 심사는 이상 하외다. 자기는 정조 관념이 없으면서 처에게나 일반 여성에게 정조를 요구하고, 또 남의 정조를 빼앗으려고 합니다."

올해 사망 70주기를 맞아 전시, 출판 등으로 나혜석을 부활시킨 건 '82년생 김지영'들이다. 나혜석의 시대와 김지영의 시대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보는 이들은 "무용(無用)의 불평만 하는 것은 아무것도 바꿀 수 없다" "우리가 비난받지 않는다면 우리의 역사를 무엇으로 꾸미잔 말이오." 같은 나혜석 어록을 퍼 나르며 세상 편견에 정면으로 맞서기 시작했다. 지금 대한민국을 강타한 '미투(Me Too)'의 핵심 엔진이다.

나혜석의 '동지'는 더 있다. 미투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남성들이다. 여성에 대한 희롱과 추행이 우리 일상에 얼마나 만연해왔는지 목도한 그들은, 미투를 폭로한 여성들이 100년 전 나혜석처럼 행려병자로 떠돌다 죽어가지 않도록 방패막이가 돼주고 있다. "내 아내, 누이들이 이런 막장 세상에서 살아남은 줄 몰랐다" "이 미개하고 야만적인 세상을 내 딸들에게 물려줄 수 없다"는 분노와 공감이 미투를 메가톤급 태풍으로 키운 숨은 힘이다.

모든 미투가 정의는 아닐 것이다. 한 가정에 씻기 힘든 상처도 안긴다. 남성을 주눅 들게 하고 '펜스룰'이란 역풍도 만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투가 계속되어야 하는 이유는, '성욕과 성적 방종은 남자다움이요 사소한 일탈'이라는 무지와 편견이 어떤 광기(狂氣)로 치닫는지 증언하기 때문이다. 엘리트 집단의 이른바 "나는 큰일 하는 남자"라는 권력형 나르시시즘이 어떤 파국을 가져오는지, 사이비 진보의 민낯이 얼마나 추악한지 드러냈기 때문이다. 뭣보다 여성들에겐 '아닌 걸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 진정한 자유를 얻는 길'이란 사실을 일깨웠다.

'한 시대가 끝났다'(Time is up)는 말은 자조가 아닌 희망의 외침이다. 미투의 본질은 남녀 간 전쟁이 아니라 인간 존엄성의 회복이다. 태풍은 목숨을 위협할 만큼 무섭고 아프지만 견뎌야 이겨낼 수 있다.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이다. 꽃은 지더라도 새로운 봄은 온다. 나혜석의 말이다.


나혜석.jpg


나혜석2.jpg


나혜석3.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