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밍버드 모텔/한이나




작년 여름 무렵 화단에서 자라던 메스키트 한 그루를 잘라냈다. 무척 사랑하고 아끼던 나무였다. 남편과 내가 저지른 무지의 소산이었다.

메스키트는 40 여종이 넘는 유사한 모습과 이름을 지닌 콩과 식물을 대표해 불리는 이름이다. 봄에는 갓 태어난 병아리 털 같은 보송보송한 꽃을 피워 옅은 바람을 타고 하늘을 춤추듯 날아다녔다. 여름이 되면 콩깍지 같은 모양새의 씨주머니를 벌써 매달고 가을을 서둘러 재촉했다. 메스키트는 미국의 남서부와 멕시코가 원산지라고 하지만 엘에이에 살았을 때보다는 투산으로 이사 와서 비로소 얼굴을 익히고 친숙해졌다. 아마도 비가 적은 사막에서 더 내성이 강한 이 나무의 특성 때문일 것이다. 투산은 애리조나주 사막 한곳에 위치한 작은 도시이다. 10년이 넘게 살았던 엘에이와는 아주 다른 성격을 지닌 도시이다. 은퇴하고 이곳으로 이주해 오는 노년층이 많아 한산하고 조용하다. 급하지 않고 서두름이 없다. 메스키트도 그런 점에서 유사한 투산의 성격을 닮았다. 성근 머리빗 모양새의 연초록 잎이 가끔 불어주는 바람을 타고 춤추듯 살랑거릴 때면 어릴 적 부스스한 내 머리를 곱게 빗겨주던 할머니의 너그러운 모습이 떠올랐다.

겨울이 시작될 무렵, 월동준비로 여러 영양분이 섞인 토양을 사다가 나무 주변에 덮어 주었다. 겨울 동안 영양을 공급하고 추위로부터 보호해주기 위해서였다. 새봄이 되자 뜨락의 나무들이 다투어 초록 잎을 돋아내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나무만은 굳게 닫힌 문을 좀처럼 열지 않았다. 어쩌다 삐죽이 돋아나는 잎도 신통치 않았다. 그럴 때마다 나무도 사람처럼 늦게 되는 수도 있겠지 생각하며 스스로 위안도 해보았다. 결국, 나무는 빛을 잃고 가지 사이가 갈라지면서 눈물 같은 액체를 흘렸다. 나름대로 약도 뿌려보고 물로 씻겨도 보았지만 허사였다. 마침내 식물재배 전문인을 불러 의견을 물었다. 겨울에 덮어준 토양이 나무를 질식시켰다는 진단이었다. 당장 그의 응급처방을 따라 시행했다. 하지만 그 전문가가 내린 2주간의 치료 후에도 나무는 숨을 쉬지 못했다. 어쩔 수 없이 나무 앞에서 종말을 고해야 했다. 나무를 잘라내기로 한 아침 앙상하게 남은 가지에 허밍버드 새가 날아와 앉았다. 허밍버드는 나무 곁을 떠나지 않고 주위를 돌다가는 다시 와서 앉았다. 나무와의 작별을 알고 우리에게 뭔가 하소연이라도 하는 걸까? 그렇다면 차라리 나무를 그냥 남겨두고 새들의 쉼터로 만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떠올랐다. 전문가에게 의견을 물었더니 죽은 나무를 그냥 두면 뿌리에 개미가 모여들어 다른 나무에도 해를 끼친다는 것이다. 마치 최종 선고라도 받은 듯 마음이 무겁고 무지가 저지른 실수가 부끄럽기도 했다.

별도리 없이 나무를 베기로 한 아침 다시 허밍버드가 날아들었다. 문득 화단에서 멀리 떨어진 적당한 곳에 빈자리를 찾아 죽은 나무를 꽂아 두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번뜩 떠올랐다.

해 질 무렵, 멀리 꽂힌 나무의 모습이 보였다. 앙상한 모습이지만 꿋꿋하게 서 있었다. 얼마 후 허밍버드 한 마리가 날아와 앉았다. 한여름 긴 하루를 보내고 지친 몸으로 편안한 쉼터를 찾은 듯했다.

허밍버드 모텔이 새 단장을 하고 문을 열었다. 나무는 죽어서도 쉬지 않고 제 몫을 한다



<2020년 퓨전수필 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