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에] 어머니는, 그렇다

성민희 / 수필가 

[LA중앙일보] 발행 2019/05/14 미주판 20면 기사입력 2019/05/13 19:27



 젊은 엄마가 가만히 울고 있다. 어머니가 돌아가셨을까. 한국에 계셔서 오랫동안 못 찾아뵈었을까. 나는 성가대 석에서 어머니의 넓은 사랑 찬송을 부르며 두 눈이 발개진 여자의 마음을 들여다본다. 
 '어머니는 생선 머리만 좋아하시는 줄 알았습니다.' 대중 기도를 하시는 장로님도 어머니를 그려낸다. 가슴에 빨간 카네이션을 달고 후회와 그리움으로 눈시울을 적시는 사람이 많다. 어머니.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라고 했던가.
 딸이 어머니 날이라고 초대를 했다. 직장 생활을 하며 아이 둘을 잘 키우는 모양이 참으로 대견한데. 딸은 집에서 게으름을 부리며 세월만 보낸 나를 좋은 엄마라고 불러준다. 지금의 자신이 있음은 엄마 때문이라고. 자기도 좋은 엄마가 되고 싶다고. 삐뚤삐뚤 한글로 쓴 카드를 읽으니 눈물이 핑 돈다. 먼 훗날 이 아이도 어머니 날이 되면 부족한 나를 생각하며 훌쩍훌쩍 울어줄까. 
 박성우 시인의 '반나잘 혹은 한나잘'이라는 시가 생각난다. 
'어머니 집에 가면 새실 한약방에서 얻은 달력이 있지/ 그림은 없고 음력까지 크게 적힌 달력이 있지/ 그 달력에는 '반나잘' 혹은 '한나잘'이라고 삐뚤삐뚤 힘주어 기록되어 있지/ 빨강글씨라도 좀 쉬지 그려요/ 아직 까정은 날품 팔만 형께 쓰잘데기 없는 소리 허덜 말어라/ 칠순 바라보는 어머니 집에 가면 반나절과 한나절의 일당보다도/ 더 무기력한 내가 벽에 걸릴 때가 있지.' 
 시골집 낮은 처마와 툇마루 사이의 허연 벽. 빛바랜 가족사진 액자 하나가 방문 위에 걸려있다. 큼지막한 글씨에 군데군데 태극마크가 빨간 숫자를 안고 있는 달력도 걸렸다. 시인은 고향집에 들어서며 연필심에 침을 묻혀가며 쓴 어머니의 글씨를 달력에서 본 모양이다. 큰 숫자 아래에다 한나잘, 반나잘 일당 받고 일할 날을 표시해 두었다. 칠순을 바라보는 어머니이건만 아직도 날품을 팔아야하는 형편이 마음 아프다.
 머리에서 수건을 벗어 옷의 먼지를 탁탁 털어내는 어머니에게 시인은 퉁명스레 말한다. 그저 휴일만이라도 좀 쉬지 그려요. 어머니는 안다. 이 나이 되도록 무기력한 시간만 굴리고 있어서 죄송혀요. 죄송혀요… 하는 아들의 마음을. 아직 까정은 힘이 있응께 쓰잘데기 없는 소리 허덜 말어라. 어머니는 그렇게 아들을 위로한다.
 38년 전 어느 가을 저녁. 늦은 밥상을 차리는 어머니를 보며 동생이 말했다. "엄마, 지금 내 형편으론 엄마보고 일하지 말란 말은 못하겠는데요. 일 조금씩만 하세요." 이제 겨우 열네 살 아들의 말이 환한 등불이 되어 그날 밤 내내 어머니의 마음을 밝혀 주었다. 그때 어머니도 그렇게 대답하셨을 거다. "집에 있으몬 뭐하노. 고마 재미 삼아 나간다아이가."
 90을 훌쩍 넘긴 지금. 드문드문 흰 머리가 난 막내의 등을 쓰다듬으며 어머니는 지금도, 그때의 그 아들 때문에 눈물 나게 행복하다. 어머니는,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