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에] 분수를 내뿜는 고래

이희숙 수필가

이희숙 수필가

열돔 현상 탓일까? 캘리포니아도 아열대기후로 바뀌나 보다. 습하고 높은 온도에 살갗 신경이 화들짝 놀란다. 차가운 물과 음식만 찾으니 예민한 위장이 신음한다.
 
여행은 엄두도 내지 못하는 상황에서 남태평양 앨범을 뒤적여 본다. 짙푸른 바다 위로 힘센 물기둥을 뿜어내는 고래가 보인다. TV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속에서 분수를 내뿜던 고래가 떠오른다. 이 드라마는 나에게 청량한 자극이 되었다. 비전통적인 주인공이 문제를 해결하는 극적 긴장감으로 감동을 주었다.  
 

우영우는 ‘고래 마니아’였다. 무엇을 떠올리거나 사건을 해결할 때마다 고래 이미지로 상상했다. 크기와 종류가 다양한 고래로 중요한 암시와 의미를 보여주었다. 또한 고래는 그녀의 기분과 정체성을 상징했다. 고래는 편견에서 벗어나 바다를 헤엄치듯 자유롭게 능력을 펼치는 그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즉 고래는 내면세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치였다.  
 
    그녀는 왜 고래에 집착했을까? 고래에 대한 의미는 보이지 않는 자신의 감정이나 심리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더불어 고래를 통해 드라마의 화면구성을 풍성하게 했다. 그녀에게 슬픔이 몰려올 때는 창틀 너머로 조용히 유영하는 혹등고래의 실루엣 그림자로 표현됐다. 이는 차별의 시선에 대한 슬픔과 좌절감을 보여주었다.    
 


  또한 고래는 차별받는 주인공을 이해하고 주인공과 소통하는 주요 수단이었다. 시청자에게 장애인에 대해 새로운 인식이 형성되길 원했다. 주인공은 “길 잃은 외뿔고래가 흰고래 무리에 속해 함께 낯선 바다에서 살고 있어요. 모두 나와 다르니까 적응하기 쉽지 않고 나를 싫어하는 고래들도 많습니다”라고 말한다.
 
  주말에 샬롬장애인선교회에서 주최한 ‘사랑의 휠체어 보내기’ 음악회를 경청했다. 많은 사람이 장애인의 삶을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체감하지는 못한다. 우영우는 천재적인 두뇌를 가진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이다. 자폐증이란 다른 사람과 상호관계가 형성되지 않고 정서적인 유대감도 일어나지 않는 증후군으로 자기 세계에 갇혀 지내는 상태의 발달 장애다. 주인공은 이런 증상을 가졌음에도 변호사란 직업을 통해 사회에 적응하며 남의 문제까지 해결해야 했다.  
 
  과거 내가 운영하던 학교에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증(Autism), 아스퍼거 증후군 등 여러 발달 장애가 있는 아이들을 보았다. 하지만 장애를 극복하고 대학에 진학하거나 홀로서기에 성공한 아이들이 내 마음속에 똬리를 틀고 있다. 이 드라마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다.    
 
  아직도 장애인을 ‘이상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다.  ‘이상한’이라는 단어는 낯설고 피하고 싶다는 느낌이지만 이상하기 때문에 생각할 수 있는 창의적인 사고도 있다. 이상함이 때로는 우리 사회를 변하게 하는 힘이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주인공은 “내 삶은 이상하고 별나지만, 가치 있고 아름답습니다. 제가 느끼는 이 감정의 이름은 바로 뿌듯함입니다”라고 말한다,  별난 삶도 가치가 있다고 일깨워주며 막을 내린 드라마였다.
 
   잔디밭 스프링클러에서 시원한 물줄기가 솟아오른다. 분수를 내뿜는 고래처럼.

  이희숙 / 수필가

 

분수를 내뿜는 고래

 

                                       

                                                                                                                                                               이희숙

 

 

   열돔 현상 탓일까? 캘리포니아도 아열대기후로 바뀌나 보다. 불타는 태양 아래에서도 그늘만 있으면 바람의 청량한 느낌이 좋았는데. 습하고 높은 온도에 살갗 신경이 화들짝 놀란다. 차가운 물과 음식만 찾으니 예민한 위장이 신음한다. 딸네 가족이 계곡을 찾아 캠핑을 떠난다.

 

  여행은 엄두도 내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남태평양 앨범을 뒤척여 본다. 짙푸른 바다 위로 힘센 물기둥을 뿜어내는 고래가 보인다. 문지원 작가가 쓴 TV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속에서 분수를 내뿜던 고래가 떠오른다. 연출 감독이 평양냉면처럼 심심한 편이어서 이런 열렬한 반응은 상상하지 못했다라고 말했던 이 드라마는 나에게 청량한 자극이 되었다. 동치미 국물에 말아 먹는 물냉면의 맛이랄까. 비전통적인 주인공을 설정하여 직업의 가치관으로 장애물을 해결하는 극적 긴장감으로 시원한 감동을 주었다.

 

 

  우영우는 고래 마니아였다. 방 안엔 고래와 관련된 장식품이 가득했다. 무엇을 떠올리거나 사건을 해결할 때마다 고래 이미지로 상상했다. 크기와 종류가 다양한 고래로 중요한 암시와 의미를 보여주었다. 대단한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 고래는 분수를 내뿜었고, 소소한 아이디어를 전할 때는 물 밑에서 기웃하는 돌고래로 나타났다. 또한 고래는 그녀의 기분과 정체성을 상징했다. 고래는 편견에서 벗어나 바다를 헤엄치듯 자유롭게 능력을 펼치는 그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즉 고래는 감정, 환상 이미지로 내면세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치였다.

 

  고래에 대한 지식도 많았던 그녀는 왜 고래에 집착했을까? 고래에 대한 의미는 보이지 않는 자신의 감정이나 심리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더불어 고래를 통해 드라마의 화면구성을 풍성하게 했다. 그녀에게 슬픔이 몰려올 때는 창틀 너머로 조용히 유영하는 혹등고래의 실루엣 그림자로 표현됐다. 이는 차별의 시선에 대한 슬픔과 좌절감을 보여주었다. 학원과 교육에 탄압받는 아이들의 해방을 알려주는 모티브로 작용할 때는 범고래의 머리 지느러미가 접혀 펴지지 않은 채 울음소리를 내며 다가왔다. 영상미를 극대화했다.

 

  또한 고래는 차별받는 주인공을 이해하고 주인공과 소통하는 주요 수단이었다. 시청자에게 장애인에 대해 새로운 인식이 형성되길 원했다. 그녀의 사회성이 발달하지 않아 생기는 어려움을 고래를 통해 보여주었다. “길 잃은 외뿔고래가 흰고래 무리에 속해 함께 낯선 바다에서 살고 있어요. 모두 나와 다르니까 적응하기 쉽지 않고 나를 싫어하는 고래들도 많습니다.”라고 말한다.

 

  어떤 문제를 해결할 때 고래 퀴즈 같아요. 몸무게가 22톤이 암컷 향고래가 500kg에 달하는 대왕오징어를 먹고 알을 낳았다면 이 고래의 몸무게는 얼마일까요? 이 문제는 무게에만 초점을 맞추면 풀 수 없습니다. 고래는 포유류로 새끼를 낳지요. 알을 낳을 수 없기 때문에 핵심을 봐야 해요.”라며 비유를 통해 처리하는 관점을 말하기도 했다.

 

  주말에 샬롬장애인선교회에서 주최한 사랑의 휠체어 보내기음악회를 경청했다. 많은 사람이 장애인의 삶을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제대로 체감하지는 못한다. 우영우는 천재적인 두뇌를 가진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이다. 자폐증이란 다른 사람과 상호관계가 형성되지 않고 정서적인 유대감도 일어나지 않는 증후군으로 자기 세계에 갇혀 지내는 상태의 발달장애다. 주인공은 이런 증상을 가졌음에도 변호사란 직업을 통해 사회에 적응하며 남의 문제까지 해결해야 했다.

 

  과거 내가 30년 동안 운영하던 학교에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증(Autism), 아스퍼거 증후군, 여러 발달장애 증상이 있는 아이들을 보았다. 하지만 장애를 극복하고 대학에 진학하거나 사회에 홀로서기를 한 어린이들이 내 마음속에 똬리를 틀고 있다. 이 드라마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다.

 

 

   아직도 장애인을 이상한시선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다. ‘이상한이라는 단어는 낯설고 피하고 싶다는 느낌이지만 이상하기 때문에 생각할 수 있는 창의적인 사고도 있다. 이상함이 때로는 우리 사회를 변하게 하는 힘이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주인공은 내 삶은 이상하고 별나지만, 가치 있고 아름답습니다. 제가 느끼는 이 감정의 이름은 바로 뿌듯함입니다.”라고 말한다. 별난 삶도 가치가 있다고 일깨워주며 막을 내린 드라마였다.

 

   잔디밭 스프링클러에서 시원한 물줄기가 솟아오른다. 분수를 내뿜는 고래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