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부는 언덕에 선 채, 이대로 좋다.
눈앞에 펼쳐진 일망무재 발 아래의 삼계화택三界火宅에서 나 용케도 견디어왔다.
어느 대왕이 학자들에게 「인간의 역사」를 써오게 하자 그들은 수백 권의 저서를 기술하여 대왕께 올렸다. 백성들이 읽기에 분량이 너무 많으니 좀더 줄여보라고 지시했다. 대왕은 간추린 수십 권의 저서도 더 줄일 것을 요구했다. 이 같은 과정을 되풀이 한 뒤, 학자들은 마침내 합의점을 찾았다. 대왕께 올린 것은 커다란 종이에 쓰여진 글자 하나 '고苦'였다. 그제서야 대왕은 만족한 얼굴로 고개를 끄덕이더라는 것이다.
만약 누가 나더러 「인간의 역사」를 써 오라고 한다면 나 역시 '苦'라는 글자를 크게 써서 올릴 것이다. 그러나 그 고苦를 통해서 우리의 영혼은 성장을 거듭하고 성聖으로 나가게 되는 것이 아닌가.
오래전의 일이다. 어느 심령술사가 내게 '당신은 전생에 해인사에서 수도하던 사람'이라고 했을 때, 갸우뚱하다가 정말 그런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 것은 해인사 백련암에서 공부하던 스님 세 분을 차례로 속가에서 만나게 된 인연 때문이다.
햇볕이 따사로운 어느 봄날, 후원에서 담소를 나누던 세 분은 무슨 연유에서인지 뱀사蛇 자를 넣어 호를 나누어 가졌는데 세 분 모두 속퇴하여 한 분야에서 일가를 이루었다. 청사 석도륜(미술평론가), 홍사 고은(시인). 백사 유충엽(명리학자)선생이다. 이분들과 인연이 닿아 인간의 운명과 주역에서 말하는 생사生死원리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불교와 문학의 언저리를 기웃거리며 함께 한 시간들이 있었다. 첼리스트 조현진 씨를 데리고 정각사에 오신 석도륜 선생을 만난 것은 1960년, 차례로 이분들을 만나면서 서로간의 친분관계를 알고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정말로 깊은 불연佛緣이다.
마음대로 되지 않는 화수미제火水未濟의 인생길을 에둘러 여기까지 왔다.
인간의 고통 중에 가장 큰 고통, 어떻게 해야 생사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겠는가? 하는 물음을 갖고 애를 태우던 중, 불생불멸不生不滅이라는 석가의 말씀에 압도된 적도 있었다. 그러나 요즈음엔 설법에도 등한한 편이다. 재액災厄으로부터 지켜달라고 법당에 가 엎드리지도 않는다. 가족의 영달과 복을 달라고 매달리지도 않는다. 아무 발원도 없이 그저 바람 부는 언덕에 나와 온몸으로 그걸 맞고 있다.
발원發願은 물론 좋은 것이다. 하나의 목표를 향한 에너지의 응집이며 자기 위안이기도 하다. 그러나 엄연한 인과因果에서는 벗어날 수 없는 일. 밭이랑에 심어 놓지 않고 어찌 거둘게 없다고 탓하겠는가? 기도에 매달려 어찌 약속되지 않은 수확을 바라겠는가. 지은 게 없는지 나는 이 생에서 유복하기는 틀렸다. 그렇다고 내 생의 빈보貧報를 받지 않기 위해 복의 종자를 부지런히 심어야겠다는 생각도 들지 않는다. 마음속의 발원도 내려놓고 나니 가슴이 뻥 뚫린 듯 휑한 공동이 느껴진다.
요즈음 들어 더 한 가지 이상한 일은 나를 둘러싼 결핍된 사항과 부족한 것들에 대해 그 개선을 요구하고 싶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대로 놓고 불편한대로 지낼만하다. 나는 지금 텅 빈 가슴으로 나목裸木처럼 서있다. 그 앞에 저항하지도 않고, 달아나려고도 하지 않으며 미련하달만큼 한 곳에 서서 맞을 것 다 맞고 싶다. 그리하여 정직한 댓가를 치루고 버릴 것은 버리며, 세상과의 관계맺음에서 홀가분해지고 싶다.
끌어 모아서 얽어매면, 한 칸의 초가집.
풀어헤치면 본래의 들판인 것을!
어느 선사의 시구처럼 허물어져 가는 한 칸의 조가집 같은 나.
언젠가는 본래의 들판으로 돌아가리.
바람 부는 언덕에 선 채, 나 이대로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