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야 미안해

                                                                                         유숙자

가지 모종 두 포기와 고추 모종 여섯 포기를 화단 귀퉁이에 심었다. 일주일쯤 되었을 때 물을 주려고 가보니 가지 모종은 앙상한 줄기만 보일 뿐 잎사귀는 모두 어느 곤충에 의해 갉아 먹혔다. 유심히 주위를 살펴봐도 눈에 띄는 벌레는 없는데 참으로 알 수 없는 노릇이다. 그런대로 고추 모종은 잘 자라 주었다. 하루가 다르게 이파리가 크는 모양으로 봐서 뿌리를 쑥쑥 내리고 있는 것 같다.

 

고추 모는 크기보다 비교적 많은 곁가지를 치고 작고 흰 꽃망울을 여러 개 달고 있었다. 이들이 모두 열매를 맺게 된다면 올여름에는 풋고추 따서 된장찌개 끓이고 가을에는 붉은 고추 다져 넣고 제법 얼큰한 육개장이라도 끓여 먹을 수 있을 것 같다. 하루가 다르게 쭉쭉 뻗으며 자라는 것이 신통해 시간 있을 때마다 들여다보고 주변에 잡풀도 뽑아주며 정성을 기울였다. 어린아이 키우듯 살갑게 돌봐 주었다.

 

결혼 후, 처음 집을 장만했을 때가 생각난다. 마당에 잔디만 심자는 남편을 설득해서 한쪽 귀퉁이에는 밭을 갈고 상치, 쑥갓 등의 채소를 심어 재미를 봤다. 호박을 심었을 때는 어떤가. 담 밑 구석에 구덩이를 파고 거름과 흙을 섞어 잘 고른 다음 구덩이 속에 씨를 떨어뜨리면 누가 돌봐주지 않아도 호박순이 담장이를 타고 잘도 뻗어 나간다. 호박잎으로는 쌈 싸먹고, 윤기가 반지르르 흐르는 애호박을 따다가 볶아서 칼국수에 고명으로 얹어 먹던 생각을 하면 지금도 입안에 군침이 돈다. 어쩌다가 커다란 호박잎에 가려 늙어버린 호박이, 가을 날씨에 시들 거리는 호박잎 사이에서 삐죽이 고개를 내밀었을 때, 보너스를 받은 것 같던 기쁨을 농사지어 보지 않은 사람은 모르리라.

 

나는 조금이라도 빈 땅이 있으면 화단 귀퉁이건 마당 가장자리든 간에 뭔가를 심는다. 그 취미는 농작물을 따서 청정 채소를 음미하고 싶어서라기보다 자라나는 과정을 보는 것이 무척 재미있는 탓이다. 그렇기에 어디서 살던, 작은 공간이라도 있으면 방울토마토, 오이, 고추 등을 심었고 화분에라도 심고 가꿨다. 농사짓는 일이 내 적성에 맞는 것 같다고 하면, 심심풀이로 하는 것으로 농사씩이나 운운한다고 친구들이 핀잔을 주지만 어쨌거나 나는 심기를 좋아하고 가꾸기를 즐긴다. 모르기는 해도 이 방면으로 나갔다면 삶이 더 풍요롭고 윤택하지 않았을까. 이런 생각도 해보며 돌봐 주는 대로 잘 자라는 고추나무가 고맙고 대견했다.

 

그러나 어찌 뜻하였으랴! 갑자기 서울에 다녀와야 할 일이 생겨 한 달포 가량 집을 비우게 되었다. 혼자 여행하게 될 경우, 외식 싫어하는 남편을 위해 음식을 만들어 놓고 떠나는 일이 힘들고 귀찮은 행사였으나 이번에는 고추나무가 걱정되었다. 지금 한창 형태를 갖춘 고추들을 자잘하게 달고 있어 가을에는 고추깨나 딸 것 같은 예감이 드는데-, 내가 떠난 후 누가 물을 줄 것인가. 결혼하고 이날까지 꽃이나 나무에는 도통 관심이 없는 남편에게 새삼스러운 부탁은 하나 마나다. 그런 것은 왜 심어서 신경 쓰게 만드느냐고 할 것이 뻔하다. 며칠을 고민하다가 떠나기 전날, 땅에 물이 흥건히 고이도록 충분히 주고 미련 없이 떠났다.

 

여행은 일상의 모든 일을 잊게 해 주어 기분 좋다. 서울 가서는 고추나무 생각은 새까맣게 잊고 지냈다.

6주간의 여행을 마치고 돌아와 청소하고 집안 정리하고 시차 적응으로 며칠을 지내다가 어느 날 화단을 돌아보았다. 나무들이야 하루에 두 번 자동으로 나오는 스프링클러가 있으니 걱정 없으나 봄에 사다 심은 일 년 초나 고추나무는 귀퉁이에 있어 물이 닿지 않기에 응당 말라 죽었으려니 했다.

 

화단 끝에 쯤 왔을 때 내 눈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고추나무들이 엉성하기 짝이 없는 팔을 쫙쫙 벌리고 서 있는 것이 아닌가. 가지마다 보기에도 애처로운 가느다란 붉은 고추를 주렁주렁 매달고. 틀림없이 고추인데 모양새가 이상했다. 잎사귀도 배배 틀려 있었다. 쪽 곧게 뻗은 고추는 단 한 개도 없이 나선형으로 꼬여져 있었다. 물을 먹지 못해 정상적 성장을 하지 못한 결과인 것 같다.

 

고추의 숨겨진 인고가 갑자기 주체할 수 없는 연민으로 다가왔다이미 말라죽었으리라 생각해 집에 도착하고 며칠이 지날 때까지 가볼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 고추나무가 역경의 한 생애를 충실히 살아내고 있었음에 '어쩜 이럴 수가' 이말 이외에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제대로 돌봤더라면 정상적으로 자랐을 것을, 심한 갈증과 영양실조에 시달려 모두 기형으로 자란 것이 마음 아팠다. 참으로 못할 짓을 한 것 같아 물을 주면서 '미안해' 미안해 소리가 저절로 나왔다.

 

비틀려 있는 고추를 바라보던 시선이 커다란 확대경이 되어 나를 비추고 있다. 형태는 갖추었으나 골고루 영양을 섭취하지 못해 비틀려진 고추가 혹시 내 모습이 아닐까. 내 안에도 어디엔가 저런 모습이 잠재해 있을 것 같았다. 나름대로 열심히 살았다고 자부하던 삶이 부끄럽게 여겨져 붉은 고추만큼이나 확확 달아오르는 얼굴을 주체할 수 없었다. 고추와 나는 어느덧 동병상련의 처지에 놓여 있었다.

 

잡초를 뽑아내고 아예 호수를 고추나무 사이에 놓고 물을 흠뻑 주었다. 흙먼지로 뽀얗게 분장한 이파리들을 분무기로 말끔히 닦아 주었다. 말려있던 잎이 손을 펴듯 조금 펴진다. 생기가 돈다.

모든 살아 있는 것은 정성을 들인 만큼 보람을 쌓는다. 사회에서 한몫을 하는 사람 뒤에 훌륭한 어머니가 있는 것처럼. 자녀가 성장하여 자기 몫을 할 때까지 버팀목이 되어주고 비바람을 막아주고 보호해 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듯이 식물도 제때에 햇빛과 비료, 물을 공급해 주어야 잘 자란다.

 

나이 들어가며 모든 살아있는 것에 관심이 깊어진다. 내가 살아온 세월보다 살아갈 날이 짧기에 매사에 더 애착이 간다. 내 손을 거쳐 자라나는 식물 한 뿌리라도 소중하고 그것들로 인해 얻어지는 기쁨과 보람이 삶을 넉넉하게 만들어 주는 탓이다.

시원한 바람과 맑은 햇살이 고추와 어우러져 노닐고 있다. 비록 가늘고 비틀려 볼품없이 자란 고추였으나 한 생애를 살아온 완전한 결실, 한 해 농사로 부족함이 없을 정도의 수확을 보며 가슴 뿌듯한 감사가 일렁인다.

청명한 가을 하늘이 더욱 높아 보인다.   (2001)